Github action 2

[Github] 셀프 러너 Github Self hosted Runner 사용하는법 (Feat. 리눅스, 셀프호스트러너)

github action 사용하는법에 대해선 예전에 아래와 같이 포스팅 한적이 있습니다. https://bug41.tistory.com/entry/Github-Github-Actions-%EC%82%AC%EC%9A%A9%ED%95%98%EB%8A%94%EB%B2%95-SSH-%EC%97%B0%EA%B2%B0 외부망이 엄격히 막혀있는 서버지만 배포 프로세스를 갖춰야해서 찾아보다가 세팅 다 마치고 안까먹고자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. 셀프러너를 시작하고픈 Repo 의 Settings 에 들어가서 Actions -> Runners 로 진입 New self-hosted runner 진입 그럼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내가 어디서 돌릴지 macOS, Linux, Windows 중 하나 클릭 하면되고 그에 따른 세팅법이 ..

IT/잡다구리 2024.01.12

[Github] Github Actions 사용하는법 , SSH 연결

개발하던 프로젝트를 github repo 에 까지 다 push 해있다는 가정하에 설명합니다. workflow 만들기 github 홈페이지에 해당 프로젝트로 진입을하면 "Actions" 부분에서 set up a workflow yourself 가 있는데 클릭하면 main.yml 이라고 기본이름으로 지정된 페이지가 나옵니다. docker-compose 파일을 작성해보신분이라면 뭔지 대충 감이 잡히실겁니다. 작성안해보셨다해도, 그냥 main.yml 에 작성되있는것들이 순차적으로 하나씩하나씩 실행되는 파일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. 우측에 있는 Marketplace , Documentation 은 지금 당장 신경안쓰셔도되고 꼭 여기서 안해도됩니다. 우리는 샘플 main.yml 을 만들려고 이 페이지에 진입한것뿐, 굳..

IT/잡다구리 2021.12.09
300x250